오늘은 미니 루크 무늬와 패턴을 큰 아이와 함께 했어요.

큰 아이는 10살인데 미니 루크가 가끔 어렵다고 한답니다. ^^;; 잠시 헤매다가 바로바로 하긴 하더라고요.

작은 애는 하루에 두세 개 하는데 큰 애는 한 권을 다 끝내버리려고 엄청 집중하더라고요.

무늬와 패턴은 생각보다 어려웠어요. 집중력과 관찰력을 키우는 데는 역시 미니 루크만 한 게 없는 것 같아요~!

 

큰 애는 과학에 관심이 많은 편이라 패턴을 보자 보름달이 생각난다고 하더라고요. ^^

그래서 독후활동으로 끝내려던 걸 그물 독서를 하기로 결정했어요.

 

[그물 독서]

1. 보름달을 사랑한 부엉이.

그레이트북스 내 친구 과학 공룡 시리즈 중 보름달을 사랑한 부엉이는 주인공 부엉이를 중심으로 달의 모습 변화를 자연스럽게 알아보고 과학적 지식도 알 수 있는 책이에요.

숲 속 친구들과 달리 보름달을 사랑하는 부엉이가 잠을 자느라 보름달을 놓치는 부분이 너무 재밌어요.

보름달을 보지 못해 힘들어하는 부엉이를 위해 숲 속 친구들이 달님을 찾아가 직접 설명을 듣는 부분은 참 동화적인 발상이 아닐 수 없어요.

아쉬워 말라며 부엉이를 다독이는 달님을 보면서 마음이 흐뭇해졌답니다.

오늘은 무슨 달이 뜨는지 궁금해하는 둘째가 창밖을 수시로 쳐다보고 있었어요.^^

 

2. 동굴의 비유

큰 아이와 그림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 동굴의 비유 책을 읽었답니다.

과학적인 내용은 없고 철학적인 부분이긴 했지만 아이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

칸트 키즈 철학 동화 시리즈 중 동굴의 비유는 올바른 인식(앎)의 방법을 주제로 한 책이랍니다.

옛날 동굴 안에 모여사는 사람들은 자기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었어요.

동굴 밖에서 스며드는 작은 빛이 만들어내는 그림자들이 세상의 전부라 생각하며 살아가죠.

사람들은 그림자를 진짜라고 믿었어요.

그러다 의문을 품게 되죠. 의문을 품고 밖으로 나간 사람은 동굴 밖의 세상, 즉 진실을 보게 된답니다.

큰 아이와 작은 아이의 수준별 책을 생각해 그물 독서를 하게 되었는데 참 뜻깊은 시간이었어요.

큰 아이는 그림자에 호기심을 갖고 관련 책을 읽으며 생각을 키우게 되었고 달의 모습 변화를 궁금해하던 둘째에게는 달이 모습을 변화하는 게 아니라 원래 둥글다는 지식을 알려주는 좋은 시간이었답니다.

이게 바로 그물 독서의 장점이 아닐까요?^^

 

첫째가 갑자기 미니 루크에 있던 바람개비를 떠올렸어요.

바람개비에 그림을 그려 넣어 움직이는 만화영화 그림 만들기처럼 해보고 싶다고 하더라고요.

4컷뿐이지만 좋은 생각이라며 일사천리로 시작했답니다.

그림을 그려넣고 있어요. 점프하고 섰다 달리는걸 그린다는 아이 ^^
오빠 내가 도와줄께~^^
아 ㅎㅎ 정말 단순한 그림체~ 그래도 좋아!
바람개비 모양틀 잡아주는 건 엄마 찬스~!
나무 젓가락에 장구핀으로 고정~^^

엄마!! 근데 바람이 안 부는데 어떻게 놀아요?

아..... 이 밤에 나갈 수도 없고 어쩌지?

안방에 있는 서큘레이터를 이용하자!!!!!

 

 

엄마!! 너무 빨라요!! 그림이 안 보여요~!!^^;;;;;;;

근데 잘 돌아가네 하하하하하

잘 모셔놨다가 나들이 갈 때 갖고 나가자!

 

+ Recent posts